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회의나 출장, 또는 외근 길에 상사와 함께 차량에 동승하는 상황이 종종 생깁니다.
이럴 때 “어디에 앉아야 실례가 되지 않을까?” 하는 고민,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.
자리 배치 하나로 센스 있는 후배로 보일 수도, 눈치 없는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.
오늘은 상사와 함께 차를 탈 때의 자리 예절과 상황별 상석 위치를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
1. 왜 ‘자리 예절’이 중요한가?
차량 동승 시 자리 배치는 단순히 편한 자리를 고르는 문제가 아닙니다.
특히 한국과 일본처럼 유교 문화권에서는 ‘상석(上席)’과 ‘하석(下席)’의 개념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.
자리 예절을 지킨다는 건
- 상대방에 대한 존중
- 상황에 대한 배려
- 조직 문화를 이해하는 센스
를 보여주는 행동이죠.
2. 기본 원칙 – 운전석에서 가장 먼 자리가 상석
일반적으로 운전석에서 가장 먼 자리가 상석으로 여겨집니다.
운전석 기준으로 정리하면:
- 1순위 상석: 뒷좌석 우측 (조수석 뒤)
→ 시야 확보가 넓고, 차량 출입 시 가장 편리한 자리 - 2순위: 뒷좌석 좌측 (운전석 뒤)
- 3순위: 조수석 앞자리
즉, 상사나 귀빈이 타는 경우 뒷좌석 우측이 기본 상석이 됩니다.
3. 상황별 자리 배치 예시
1) 상사 + 부하 직원 1명
- 상사: 뒷좌석 우측
- 직원: 조수석 앞
2) 상사 + 부하 직원 2명
- 상사: 뒷좌석 우측
- 직급이 높은 직원: 뒷좌석 좌측
- 직급이 낮은 직원: 조수석 앞
3) 동승 인원이 많아 꽉 찬 경우
- 상사: 뒷좌석 우측
- 부하 직원: 남는 자리 순서대로 착석하되, 상사 옆자리는 직급 높은 사람이
4. 운전하는 사람이 상사일 때는?
상사가 직접 운전하는 경우, 자리 배치의 의미가 조금 달라집니다.
이때는 조수석이 사실상 상석입니다.
운전하는 상사와 대화를 나누기 쉽고, 길 안내나 주차 시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죠.
다만 장거리 이동 시에는 “제가 뒤에 앉겠습니다”라고 양보하면 오히려 배려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.
5. 승하차 예절까지 챙기면 완벽
자리만 잘 잡는다고 끝이 아닙니다.
- 상사가 먼저 차량에 타고 내릴 수 있도록 문을 열어주기
- 짐이 있다면 대신 실어주기
- 내릴 때는 상사가 먼저 내리도록 기다리기
이런 세세한 행동이 ‘자리 예절’을 완성합니다.
6. 예외 상황도 기억하기
- 건강 문제: 상사가 다리를 다쳤거나, 움직이기 불편하다면 승하차가 편한 자리를 먼저 권해야 합니다.
- 운행 목적: 업무 중 노트북 사용, 서류 검토 등 목적이 있다면 테이블이 있는 좌석을 배정할 수도 있습니다.
- 문화 차이: 외국인 상사라면 상석 개념보다 편안함을 우선할 수도 있습니다.
7. 센스 있는 마무리 – 말 한마디
자리 예절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,
“부장님, 여기 앉으시죠” 같은 한마디를 덧붙이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.
배려는 행동과 말이 함께할 때 더 빛이 나니까요.
차량 동승 자리 예절은 단순히 ‘자리 잡기’가 아니라 관계와 분위기를 만드는 기술입니다.
다음에 상사와 함께 차를 탈 일이 생긴다면, 오늘 알려드린 원칙을 기억해 보세요.
작은 자리 선택이 큰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스타벅스, 카공족 장비 제한 시작|나도 해당될까? 변화 핵심 정리
올여름, 스타벅스가 전국 매장에서 ‘카공족’ 장비 사용 제한에 나섭니다.노트북으로 간단히 작업하는 건 괜찮지만, 사무실처럼 장비를 펼쳐놓는 모습은 이제 보기 힘들어질 텐데요.이번 조치
issue.onenestory.com
기독교 장례 조문 예절|절 대신 어떻게 인사하나?
장례식장에서 ‘절을 해야 하나, 말아야 하나’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?특히 기독교 장례식에 처음 가는 분이라면,불교식과 달라서 헷갈리기 쉬운 조문 예절이 많습니다.이번 글에서는 기독교
issue.onenestory.com
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허용|지역 상권·관광업계에 어떤 변화 생길까?
오는 9월부터 중국 단체관광객이 비자 없이 한국에 들어올 수 있게 됩니다.여행업계에 종사하거나, 전통시장·숙박업·병원·쇼핑몰 같은 지역 상권과 가까운 분들이라면“이게 실제로 우리한테
issue.onenestory.com
생리휴가 신청법|눈치 안 보는 사용 꿀팁
생리휴가, 아직도 눈치 보이시나요?월 1회 사용 가능한 법적 권리임에도 불구하고, 많은 직장인들이 제대로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.이번 글에서는 생리휴가 신청 방법부터 유급 가능 여부, 알바·
issue.onenestory.com
'예절·문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회의실 상석 위치|직급별 좌석 배치 헷갈릴 때 정리 (1) | 2025.08.14 |
---|---|
조문 인사말 정리|실수 없이 하는 위로의 말 (5) | 2025.08.13 |
상견례 예절 완전 정리|자리 배치·복장·대화 주제까지 (8) | 2025.08.12 |
기독교 장례 조문 예절|절 대신 어떻게 인사하나? (7) | 2025.08.08 |
예단비 얼마가 적당할까?|남자집·여자집 주고받는 순서 총정리 (4) | 2025.08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