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스마트팜체험1 도시형 스마트팜, 서울 한복판에서 상추가 자라는 이유 서울 지하철역·복지관·도서관 내부에서 상추와 청경채가 자라는 시대입니다.‘스마트팜은 시골 유리온실’이라는 통념을 깨고, 서울 6개 자치구가 물 사용 –90 %, 농약 0 ㎎, 푸드마일 0 km를 내건 도심형 스마트팜을 시범 운영 중이죠.왜 비싼 도심 공간에 농장을 들여와야 할까요? 또 우리 생활엔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?5분 만에 읽는 오늘의 도시농업 브리프에서 하나씩 짚어봅니다. 🌱 흙 없는 농장이 필요한 이유우리나라 농가의 평균 경지 면적은 1.6 ㏊(OECD 최하위)이고, 농업인의 60 % 이상이 65세 이상입니다.인건비는 매년 6 %대 상승하지만, 상추·청경채 같은 엽채류는 수익성이 낮고 노동집약적이라 공급 불안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.결국 도시에서 소비되는 채소를 도시 안에서 일부라도 책임지는 대.. 2025. 6. 19. 이전 1 다음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