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례식장에 갈 때마다 “불교식은 어떻게 해야 하지?” 고민되는 분들 많습니다.
특히 염불, 향 올리는 법, 절 몇 번 하는지, 맞절을 해야 하는지, 꽃은 올려야 하는지… 막상 현장에서는 헷갈리기 쉽습니다.
오늘은 불교 장례식에서 꼭 알아야 할 조문 예절과 순서, 주의할 점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
1. 불교 장례식 조문 기본예절
- 복장: 남성은 검정 양복+흰 셔츠+검정 넥타이, 여성은 단정한 검은색 옷.
- 인사: 유족에게는 짧고 정중하게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.”
- 태도: 말소리는 낮추고, 행동은 최대한 차분하게.
2. 염불 예절
- 스님이 염불 하는 동안 조문객은 두 손을 모으거나 고개 숙여 경청합니다.
- 직접 참여를 요청받지 않으면 조용히 마음을 담아 지켜보면 됩니다.
- 불교식에서는 염불을 경청하는 태도가 가장 큰 예의입니다.
3. 향 올리는 법 (헌향)
- 분향소 앞으로 조용히 이동
- 향 하나를 집어 불에 살짝 대고, 흔들어 불꽃만 끄기
- 향로 중앙에 꽂기 (불교식은 보통 1개만)
- 합장 후 고개 숙이기
👉 일부 지방에서는 2~3개를 올리기도 하지만, 불교식 원칙은 1개입니다.
4. 절하는 법 (몇 번, 어떻게?)
- 불교 장례식에서는 두 번 절이 기본입니다.
- 절 순서: 합장 → 큰절 → 다시 합장 → 두 번째 절.
- 마지막에는 유족에게 고개 숙여 인사합니다.
5. 불교 장례식 맞절 여부
- 불교 장례식에서는 맞절을 하지 않습니다.
- 향을 올리고 절한 뒤, 유족에게는 합장하거나 목례로 인사하면 충분합니다.
- 맞절은 유교식 장례에서 자주 보이는 방식입니다.
6. 불교 장례식의 헌화(꽃 올리기)
- 전통적인 불교식은 향(헌향)이 중심입니다.
- 하지만 현대 장례식장에서는 향 대신 꽃(흰 국화)을 올리게 안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헷갈린다면 장례식장 직원이나 유족 안내에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7. 조문 순서 정리
- 분향소 앞에서 합장
- 향 1개 올리기 (또는 국화 1송이 헌화)
- 두 번 절하기
- 유족에게 합장 또는 목례로 인사
- 부의금 전달
8. 사람들이 자주 하는 실수
- 절을 세 번 하는 경우 → 불교식은 두 번이 원칙
- 향을 여러 개 꽂는 경우 → 불교식은 1개
- 향 불꽃을 입으로 끄는 경우 → 반드시 흔들어서 끄기
- 유족과 맞절하려는 경우 → 불교식은 맞절 없음
- 인사말 실수 → “하늘나라에서 편히 쉬세요” 대신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”
- 복장 실수 → 밝은 색 스타킹, 반짝이는 액세서리, 화려한 넥타이는 피해야 함
- 헌화 혼동 → 불교식 기본은 향이지만, 요즘은 꽃을 대신 쓰기도 하므로 안내에 따르기
9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절을 못 하는 상황(무릎 불편 등)이라면?
➡️ 합장과 목례만 해도 충분합니다.
Q2. 향을 꼭 올려야 하나요?
➡️ 상황에 따라 국화 헌화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.
Q3. 유족에게 어떤 말을 건네야 하나요?
➡️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”가 가장 무난합니다.
Q4. 맞절은 왜 안 하나요?
➡️ 불교식에서는 맞절 대신 합장이나 목례로 인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
Q5. 부의금은 얼마가 적당할까요?
➡️ 가까운 친척은 10만 원 이상, 직장 동료는 5만 원 정도가 일반적입니다.
체크리스트 요약
- 단정한 검정 복장
- 향은 1개, 절은 2번
- 맞절은 하지 않고 합장·목례로 인사
- 꽃(헌화)은 상황에 따라 가능
- 인사는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”
- 과한 잡담·화려한 복장·종교적 어긋나는 말은 피하기
함께 보면 좋은 글
명절 술자리 예절|어른 앞에서 술 따르는 법·잔 받는 법·싸움 안 나는 대화법
추석만 되면 자동으로 열리는 게 있죠. 바로 가족 술자리.근데 이 자리가 단순한 술자리가 아니라 인생 수련의 장이 될 수 있습니다 😂친구들이랑 마실 때처럼 소맥 폭탄 제조했다간? → 엄마
issue.onenestory.com
장례식장 식사 예절|상주와 마주쳤을 때 인사법
장례식장에서 올바른 식사 예절과 상주를 만났을 때 인사법을 정리했습니다. 어색하지 않으면서도 예의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상황별로 알려드립니다. 처음 장례식장에 가는 분들도 이 글을
issue.onenestory.com
조문 인사말 정리|실수 없이 하는 위로의 말
상가(喪家)를 방문할 때 가장 어려운 순간 중 하나가 바로 무엇을 말해야 할지일 겁니다.슬픔에 잠긴 유가족 앞에서 말 한마디조차 조심스러워지는 순간, 괜히 잘못된 말을 해서 상처를 줄까 두
issue.onenestory.com
기독교 장례 조문 예절|절 대신 어떻게 인사하나?
장례식장에서 ‘절을 해야 하나, 말아야 하나’ 고민해본 적 있으신가요?특히 기독교 장례식에 처음 가는 분이라면,불교식과 달라서 헷갈리기 쉬운 조문 예절이 많습니다.이번 글에서는 기독교
issue.onenestory.com
'예절·문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입사원 회식 자리 매너|상사와 술자리 예절·자리 배치 꿀팁 (1) | 2025.09.04 |
---|---|
명절 술자리 예절|어른 앞에서 술 따르는 법·잔 받는 법·싸움 안 나는 대화법 (1) | 2025.09.02 |
고속도로 안전수칙 10가지 + 운전 매너 한번에 정리 (1) | 2025.08.27 |
명절 가족 식사 자리 순서|어른, 시댁, 조카까지 배려 포인트 (2) | 2025.08.26 |
장례식장 식사 예절|상주와 마주쳤을 때 인사법 (2) | 2025.08.21 |